본문 바로가기
프로설계사의 전기/전기안전관리

전기안전관리대행어려운 경기속에서​그래도​조금씩 나아가려는게 있습니다

by 프로설계사 2020. 9. 15.

전기안전관리대행

어려운 경기속에서

그래도

조금씩 나아가려는게 있습니다

정말 어려울때 일 수록

내공이 잘 쌓여있는

그리고

제대로 된 정공법으로

문제를 해결 하려는

끈질긴 노력들이

벽돌 한장한장이 쌓여서

커다란 벽을 만들듯

처음시작이

벽돌 하나 여도

쌓이다 보면

누구도 넘을 수 없는

높고 튼튼한 벽이 되리라

믿습니다.

쉬운일이 아닙니다

그리고 직원으로 자리가 잘 나지도 않습니다

자격증만 있다고 일을 할 수 도 없습니다

자격증도 있어야 하고

경력도 있어야 합니다

#전기산업기사 취득 후 경력 4년 이상

#전기기사 취득 후 경력 2년 이상

#전기안전관리대행업 에 발 들여 놓기가

쉽지 않습니다.

막상 일을 할때도 혼자 주로

업체의 모든 고충을

그리고

모든일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책임감도 있어야 하고

개인적인 업무 스킬도 있어야 합니다

그렇게 일하면서

영업력도 있어야

본인 계약이.. 본인이 관리 하는 수용가가

늘어나서 수입도 늘어나게 되겠지만

모든건 처음부터

다 될 수 없습니다

처음 시작 하게 되면

기술력도 부족 하겠지요

업체를 상대하는 즉 사람 상대 하는 일도

서툴겠지요

업체별들 마다 처리 해야 하는

직무고시들도 어렵겠지요

운전도 많이 해야 하고

하는 일 만큼 급여부분이

마음에 안 찰 수 있습니다.

모든건 그렇게 성에 안차고

마음에 안들고

부족한거 투성이로 시작 하게 됩니다

내가 소주잔을 들고 있다면

비어 있는 소주잔에

바닥부터 조금씩 한방울씩

채우다 보면 소주잔은 채워지게 되어 있고

잔은 넘치게 되어 있습니다.

© neonbrand, 출처 Unsplash

처음에는 벽돌 한장이 되겠지만

한장 한장 쌓이다 보면

언젠가는 말리장성이 될 수 있겠지요

자격증은 유효기간이 없습니다.

기술에는 유효기간이 없습니다.

영업렵에는 유효기간이 없습니다.

자격증.기술.영업력은

마르지 않는 샘입니다

불황에도 끄떡 없는

대들보가 댈 수 있습니다.

경기가 어려워도

기술력 있는 사람은

굶지 않습니다.

지금도

앞으로도

기술력이 우리의 살 길 입니다

군산에서 익산에서 김제에서

#전기안전관리대행 할 수 있는 일이 있습니다

 

© masonjones, 출처 Unsplash

 

업계의 이야기가

안좋은건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직장생활에서의 구속적인 느낌말고

일을 하는데 자유스럽이 있습니다

본인이 업무 스케줄을 짜서

진행하기 때문에

시간적인 자유스럽이 있습니다.

시간적인 자유가 있다라는건

무엇일까요?

우리는 시급이라는 말을 쓰지요

그렇다면

그 시급으로 지금의 한시간을

살 수 있을까요?

내가 지금의 시간을

만원짜리의 시간을 만들지

지금의 한시간을

백만원짜리 일로 만들지

그건 내가 하기 나름입니다

시간의 자유스럼이라는건

곧 돈에 자유스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시간은

본인이 하기에 따라서

돈으로 바뀔 수 도

다른 무엇인가를 만들 수도 있다라는 겁니다

다른 무엇보다도

전기안전관리대행업무에서 좋은건

시간입니다.

시간의 중요성을 알고 계신다면

전기안전관리대행업무에 관심을

가져보셔도 좋으실꺼 같습니다.

연락주세요

모든건 맞춰가기 나름입니다.

* 전기안전관리대행 업무 수행

1. 각 수용가의 순회점검 업무 수행 (전기설비안전점검)

2. 전기설비의 전기수용을 위한 대관업무 및 직무고시, 안전진단 업무 수행

3. 한국전기안전기술인협회 경력수첩 중급이상 필수 (전기기사+경력 2년, 전기산업기사+경력 4년)

#군산전기안전관리

#익산전기안전관리

#김제전기안전관리

#태양광전기안전관리대행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전기사업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73조제6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 한다) 제44조제3항의 규정에 따른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용어의 정의)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공사”란 전기설비의 설치 및 변경(설치·대체․개조․증설․폐지)하는 공사 및 이에 따른 부대공사를 말한다.

2. “유지”란 개개의 전기설비가 그 본래의 형태와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순시․점검 및 수리․보수하는 것을 말한다.

3. “운용”이란 전기설비의 설치 목적에 따라 조작․가동․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4. “점검”이란 전기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기안전관리자가 육안 또는 장비 등을 활용하여 확인·측정하는 등의 활동으로써 일상점검, 정기점검, 정밀점검, 공사 중 점검 등을 말한다.

5. “일상점검”이란 전기설비의 외관점검, 작동점검, 기능점검 등을 실시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시 점검하는 것을 말한다.

6. “정기점검”이란 월차, 분기, 반기 등의 일정한 주기를 기준으로 전기설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것을 말한다.

7. “정밀(연차)점검”이란 전기설비의 주요 구성품이 동작시험 및 계기측정 등을 통해 전기설비기술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매년 정기적으로 정밀하게 점검하는 것을 말한다.

8. “공사 중 점검”이란 전기설비를 설치 또는 변경 중인 공사의 경우 매주 1회 이상 점검하는 것을 말한다.

군산전기안전관리컨설팅

댓글